반응형

가지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한반도에서 재배되어 온 전통적 채소이다.

가지의 원산지는 인도로 추정되고 있으며 야생종 상태의 가지는 발견되지 않고 있지만 인도 동부에 존재하고 있는 ‘솔라넘 인사누스 L.(Solanum insanus L.)’이 원종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중국의 재배 역사는 아주 오래 되었는데 제민요술<齊民要術(405~556)>에는 가지의 재배, 파종, 물을 많이 요하는 작물 등을 말하고 있고 많은 품종을 기술하고 있어 중국에서는 적어도 1,000년의 재배 역사를 갖고 있기도 하고 한편 페르시아인들에 의해서 지중해 연안 지대에 전해지게 되어 아라비아 지방에서는 5세기의 기록에 남아 있다. 

유럽에 전래된 것은 약 13세기경으로 보이며 영국에서는 관상용으로 이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유럽에서는 위도가 낮은 지역에서 적은 양이 재배되었다. 그러나 동양만큼 주요한 작물로 취급되지는 않았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시대에 가지의 재배와 성상에 관한 기록이 해동역사<齊民要術(405~556)>에 남아 있어. 해동역사에 가지의 재배 및 채종에 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랜 재배 역사를 가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일본으로 전파 되었다고 보이며 일본에서의 기록은 서기 750년 이후에 나타나 있다.

연도

 

노지

시설

면적

(ha)

단수 (kg/10a)

생산량

(톤)

면적

(ha)

단수 (kg/10a)

생산량

(톤)

면적

(ha)

단수 (kg/10a)

생산량

(톤)

1990

1,225

1,772

21,701

1,176

1,742

20,490

49

2,487

1,211

1995

956

2,155

20,603

691

1,943

13,423

265

2,709

7,180

2000

1,013

2,964

30,022

623

2,765

17,226

390

3,281

12,796

2005

889

4,379

38,941

582

2,942

17,132

307

7,106

21,810

2010

662

4,306

28,487

418

3,330

13,908

244

5,977

14,579

2011

747

4,572

24,151

464

3,930

18,237

283

5,623

15,914

2012

653

4,402

28,746

403

3,303

13,311

250

6,174

15,435

2013

695

4,112

28,582

440

3,146

13,841

255

5,780

14,740

2014

711

4,565

32,455

420

3,649

15,328

291

5,886

17,127

2015

731

4,581

33,484

458

3,534

16,187

273

6,336

17,296


현대의 우리나라 가지 재배 면적은 2000년 당시 1013ha였는데, 점차 감소하여 2015년 당시엔 731ha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15년 동안 면적당 재배량은 꾸준히 증가하여 생산량은 오히려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지

시설

지역

면적

(ha)

단수(kg/10a)

생산량

(톤)

면적

(ha)

단수(kg/10a)

생산량

(톤)

면적

(ha)

단수(kg/10a)

생산량

(톤)

전국

731

4,581

33,484

458

3,534

16,187

270

5,947

16,159

부산

1

2,356

21

 

 

 

1

2,356

21

대구

5

3,439

186

2

2,981

63

3

3,730

123

광주

22

5,401

1,204

1

2,900

15

22

5,458

1,190

대전

2

3,495

66

2

3,495

66

 

 

 

울산

2

2,426

46

2

2,426

46

 

 

 

경기

166

4,495

7,439

74

3,443

2,562

91

5,354

4,877

강원

171

3,646

6,220

150

3,533

5,282

21

4,446

938

충북

18

4,214

767

17

4,107

706

1

6,060

61

충남

53

3,792

1,998

49

3,884

1,884

4

2,724

114

전북

34

5,310

1,811

22

3,385

751

12

8,901

1,059

전남

28

5,674

1,560

5

5,711

257

23

5,667

1,303

경북

168

4,345

7,291

129

3,395

4,376

39

7,494

2,915

경남

62

7,835

4,873

6

2,803

179

56

8,412

4,694


가지 재배에서는 강원도, 경기도, 경상북도 3개 지역이 우리나라 전체 면적의 70%를 차지하며, 강원도와 경상북도는 주로 노지에서 재배하고 광주, 경상남도, 전라남도 지역은 대부분 시설재배 하고 있다.

가지는 보통 무침이나 건조 후 나물로 먹으며, 불고기나 튀김 요리 재료로도 많이 쓰이고 있다.

한국 및 일본에서는 생채나 샐러드용으로도 둥근 가지를 많이 이용하고 있고, 절임 채소용으로는 긴가지를 사용하여 절임, 구이, 찌개류 등등 다양한 요리가 무궁무진하게 발달되어 오고 있다고 한다.


가지에는 발암을 억제하는 폴리페놀이 많은 채소로 엄청 유명한데, 가지는 93%가 수분이며 가식부위는 95% ,정도이다.

가지는 혈관을 강화, 해열 작용, 잇몸 및 구강내 염증 해소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고혈압과 동맥경화 예방에도 매우 좋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그 외에도 가지에는 단백질도 포함되어 있고. 탄수화물과 무기질, 비타민까지 함유되어 영양소가 아주 풍부하다.

가지의 효능에 대해 계속 열거하면, 비타민A 흡수율을 높이는 효능과 비타민C가 많은 식재료와 함께 요리시 흡수율을 높이는 효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폴리페놀이 항암작용도 하며, 

눈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나스닌"이라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가지는 눈 망막의 로돕신을 활성화 시키는 기능이 뛰어난데, 참고로 로돕신은 사물을 볼때 꼭 필요한 영양분이다.

사람들은 눈 건강에 특별히 신경을 쓰지 않지만, 눈의 피로완화와 노안 방지 및 백내장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영양분이니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성인병 예방에도 탁월한데, 가지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혈액순환 원활하게 해주는 효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지 100g 당 22ckal로 열량이 매우 낮고, 수분 함량이 90%이상, 식이섬유 역시 풍부해서 몸의 염분 배출을 촉진시켜주며, 풍부한 칼륨 성분으로 인한 이뇨 작용으로 부기를 억제하는 효과까지 있어 다이어트에 매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항산화 물질을 활성화시키고, 외부로 피로물질을 배출시켜주니 피로, 노화, 치매 예방에도 매우 좋다고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