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조선시대 은 추출법과 일본 이야기
예부터 순수 은을 뽑는 방법은 고급 기술이었다.
대부분의 나라는 은광석을 지속 가열해서 잿더미 잔해에서 은을 추출하는 방법을 썼는데 투자대비 상당히 비효율 적이라 그 가치가 오른 순수 은은 고가의 화폐로 사용된다.
연산군 시절, 연산군은 사치를 즐겨서 항상 돈에 목말라 있었는데 어느날 양인 김감불, 노비 김건동이 연산군 앞에서 화학실험을 진행한다.
김감불, 김건동은 자신들이 개발한 방법이라며 금속의 녹는점 차이를 이용해 납과 은이 섞여있는 저품질 은광석 덩어리에서 순수한 은을 다량으로 추출한다.
당시로선 최첨단 제련기술인 것이다.
양인과 노비가 시현한 실험인데도 연산군이 직접 참관했단 이유로 조선왕조실록에 유일하게 기록된 화학실험이며, 연산군 또한 기뻐하며 즉시 함경도의 은광에서 이 방법을 이용해 은을 대량으로 뽑아내라고 지시하게 된다.
그런데 호조판서가 이 기술을 민간에 전파하여 민간사업자가 은을 생산하게 하고 세금을 씌어 막대한 세수를 거두자고 연산군에게 건의하게 되고, 연산군은 역시 동의하며, 즉시 시행하라고 명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연산군의 후궁 장숙용 집안이 채굴권도 받고 면세혜택도 받는 등 국정농단에 악용되어 조선조정이 실제로 벌어들인 돈은 많지 않다.
하지만 이러한 은 제련법은 당시로서는 매우 혁신적이라 순은의 대량생산을 불러왔고 조선내부에 은이 엄청 많아지게 된다.
은을 화폐로 사용하는 명나라와의 교역은 상당히 증가하여 조선왕조실록엔 "황해도부터 의주까지 짐을 실은 수레가 가득하다.", "중국으로 가는 사신들은 은 3천냥씩 쥐고 간다." 등의 기록이 남아있고 "조선, 명 국경일대는 은이 너무 많아 물가가 북경과 다를바 없다." 등의 기록도 남아있다.
하지만 1506년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중종을 비롯한 공신들의 목표는 연산군의 흔적 지우기가 된다.
사치문화는 즉시 제거, 은의 대량 생산도 제거, 은을 뽑아내던 신기술도 제거, 즉, 그냥 은 채굴 자체를 제거하려고 시도케 된다.
은광산 종사자 및 은을 거래하던 상인들은 아닌 밤중에 날벼락을 맞게 된 것이다.
중종시대 몇몇 신하들이 재정 부양을 목적으로 은 채굴을 허용하자 건의하여 은광 개발이 일시 허용됐지만, 얼마 못가 중단되는 등 조선의 은광 산업은 쇠락하게 된다.
그런데 이 기술은 추후 일본에서 혁신을 일으키게 된다.
1526년 하카타의 일본 상인이 조선의 기술자 두명을 초청해 조선의 은 제련법을 도입하는데 성공한다.
일본에서 연은분리법이 최초로 시도된, 이와미 긴잔 유적의 입구.
일본 시네마현의 이와미 은광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일본의 은광은 납이 많이 섞여있어 저품질의 은광이었으나 금속의 녹는점이 다른것을 이용하여 순수 은을 추출하는 조선의 기술은 이들에게 매우 혁신적이었다.
1584년 이와미 은광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넘어갔고 이곳에서 생산된 은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군자금으로 쓰이게 된다.
일본은 세계 2위의 은 생산국으로 올라서고 포르투갈은 일본에 와서 총포나 무기를 일본에 팔고 일본에서 받은 은으로 명나라의 특산품을 사서 본국으로 귀환하는 무역이 이뤄지게 된다.
막대한 은을 바탕으로 일본은 많은 무기를 확보하고 충분한 병사를 유지할수 있었다.
이는 임진왜란이 발발하게 되는 하나의 계기가 된다.
'5분 재미있는 역사 상식 > 5분 재미있는 한국사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시대]고구려 멸망의 결정적인 이유 (0) | 2019.07.17 |
---|---|
[조선시대]조선시대 폐비 윤씨에 대해 (1) | 2019.07.17 |
[지역사]한때 독립국이었던 울릉도의 역사 (0) | 2019.07.16 |
[조선시대]병자호란의 잊혀진 전투, 강화도 방어전 (0) | 2019.07.16 |
[고려시대]고려시대의 노비는 어땠을까?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