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무기]한국 주력 전투기 F-15K의 성능
한국 최강 전투기인 F-15K를 소개해볼까 한다.
우선 F-15K를 소개하기 이전에 미국의 F-15E를 먼저 설명해야하는데, 왜냐하면 F-15E의 레이더하고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70년대에 F-15A를 배치했다.
배치할당시에는 세계최강 전투기였는데, F-15A의 AN/APG-63 레이더는 전투기를 150km 거리에서, 폭격기를 300km 거리에서 탐지할 수 있는 강력한 전투기였다.
같은 시기 한국 F-4 팬텀, 소련 미그25등은 전투기를 30km 정도에서 탐지할 수 있었던걸 생각하면 굉장했다.
그당시에는 랩터와 같은 위상을 지녔다 봐도 과언이 아니었다.
80년대 당시 미국은 F-15를 수백대 생산하여 강력한 공군력을 확보하여 소련 공군력을 크게 따돌렸고 2위 경제대국인 일본 역시 F-15를 면허생산(F-15 설계도/생산권 사와서 일본에서 공장짓고 생산)해내서 F-15C/D의 일본형인 F-15J/DJ를 200대 넘게 생산해내는 예산의 힘을 보여주었다.
그런데 미국은 여기에 만족하지않고 80년대에는 F-15E를 개발하게 돼. F-15E는 AN/APG-70 레이더를 탑재하는데, 63보다도 공대공 탐지거리가 늘었고 (150 - > 180km ) 공대지 탐지능력도 현격히 좋아졌다.
an/apg-70은 합성개구레이더(sar)를 갖고 있는데,
합성개구레이더란 항공기에 탑재되고, 레이더로 지상사진을 찍는다고 보면 된다.
(비행기가 땅에다 레이더 전파를 쏴대서 지상의 물체에 부딪혀서 돌아오면 그걸 다 사진화시킨다고 이해하면 된다.)
합성개구레이더(sar)의 장점은 일반 카메라와는 달리 구름이 끼어도 구름너머의 사진을 촬영해서 확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SAR은 무인정찰기,
정찰위성등에 탑재되어 지상을 감시하는등 강대국들이 필수적으로 개발/보유하는 전략자산이다.
F-15E의 것은 150KM를 볼 수 있는 SAR이다.
그런데 미국은 또 F-15C/D 에도 F-15E만큼 좋은 레이더를 넣기위해 AN/APG-63을 70처럼 뜯어고치고 개량하려고 했다.
하지만 이는 금새 무산돼버리는데,
바로 F-18, F-16 등 다른 전투기종들의 레이더 사업도 산더미처럼 쌓였고, 아무리 천조국, 미국이라고 해도 이렇게 초대형 사업을 다 해내기엔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다.
문제는 돈이었다.
그래서 원래 있는 F-15C/D의 개량 레이더를 개발하는 욕심까진 안부린 것이다.
그러다 90년대에 한국이 F-X사업, 즉 차기 공군력을 확보하기위한 차세대 전투기 사업을 벌인것이다.
여기에 미국이 F-15K를 후보기종으로 참여하는데, 이 덕분에 F-15C/D를 위해 63을 개량하려던 계획이 오래 묻혔다가 다시 재가동된 셈이었다.
그렇게 개발된 레이더는 AN/APG-63(V)1이다.
AN/APG-63의 공대공 능력을 꽤 개선시키며 + 70의 공대지능력을 합쳤다.
80년대에 개발된 70보다도 10배 빠른 컴퓨터가 들어간건 당연하고 그 당시 F-15중 가장 좋은 레이더였다.
F-15K는 우리나라에 60대가 배치되고 이렇게 F-15K가 2007년의 대한민국 공군력을 크게 강화시키게 된다.
AN/APG-63(V)1은 기계식 레이더고, AN/APG-63(V)2, AN/APG-63(V)3은 전자식 레이더(AESA)이다.
AN/APG-63(V)3를 개량한 AN/APG-63(V)4는 F-15SE(사일런트 이글)에 탑재되는 AN/APG-82가 된다.
F-15K의 좋은점중 대표적인건 타우러스 순항미사일이다.
500KM 떨어진 벙커를 부술 수 있다.
그리고 F-35A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한국공군 300여대의 전투기중 유일하게 주변국과 게임이 되는 기종이다.
한편 F-15를 200대 보유한 일본 역시 도입한지 오래된 F-15J를(35~30년) 개량하는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일본은 지금까지 200대의 F-15 전투기중 100대를 F-15K 성능으로 개선해놨고,
또한 일본이 개발한 F-2 전투기도 성능개량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어서 대단하게 생각한다.(레이더 탐지거리 180km - > 200km )
일본이 보유한 F-2 90대를 다 개량할 순 있을지 몰라도 이렇게나 많은 숫자의 최고급 전투기를 개량하는 사업은 미국외에 또 어디서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중국도 90KM 탐지능력을 가진 J-10을 130KM로 개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J-11(120KM)을 J-11B로 개량을 이미 상당히 한 상태이다.(150KM)
우리나라는 F-15K 개량소식은 아직 없고, KF-16 개량사업얘기는 많이 나오고 있다.
한국 공군 KF-16의 90km 탐지거리인 레이더를 160km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괜찮은 F-15E에서 많은 장점을 채용한 F-15K를 대단하게 생각하고 있고,
유럽이 개발한 최첨단 유로파이터 전투기(168KM)에 못지않은 F-15K가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5분 이것저것 토막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해군]세계 최강급 전력, 미 7함대 (0) | 2019.09.12 |
---|---|
[군사무기]전투기 세대별 분류와 2030년 배치 예정인 미국의 6세대 전투기 컨셉 (0) | 2019.09.02 |
가장 빠른 전투기, Mig-25 (0) | 2019.08.26 |
세계에서 가장 더운 지역 TOP 10 (0) | 2019.08.11 |
초거대 유전을 둘러싼 한중일 삼국의 자원전쟁 (1) | 2019.08.10 |